HOME > 상담실 > 유공산재뉴스
경비지원 차량으로 출근 중 사고는 업무상 재해 |
작성자 : 서/박 변호사 | 등록일 : 2012-01-04 10:12 | 조회수 : 3,626 |
경비지원 차량으로 출근 중 사고는 업무상 재해
회사소유 아니라도 대체 교통수단 없었다면 업무용 차량 해당 서울고법, 원고승소 판결   회사가 운행 경비를 지원한 차량을 타고 출근하다 교통사고를 당했다면 업무상 재해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법 행정1부(재판장 김창석 부장판사)는 지난 달 20일 출근 중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사망한 정모씨의 부인 권모(50)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최초요양불승인처분 취소소송 항소심(2011누15611)에서 1심을 취소하고 원고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회사가 현장소장 차량을 정씨 등 근로자들을 위한 출·퇴근 용도로 사용하게 하는 대신 유류대·고속도로 통행료·차량 수리비 등 명목으로 매월 일정한 차량 운행 경비를 현장소장에게 추가 지급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사고 차량이 현장소장의 소유이기는 하나 소장은 다른 승용차를 이용해 출근을 했다”며 “사고 차량을 공사현장에 필요한 자재와 장비의 이동을 위한 차량으로 사용하는 한편, 대중교통수단으로는 현장에 출·퇴근하기 어려운 현장근로자들의 출·퇴근용으로도 사용했던 것이므로 현장 업무용 차량으로 봄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사고 당시 출·퇴근 방법과 경로의 선택이 사실상 정씨에게 유보됐다고 볼 수 없으므로, 교통사고로 인한 재해와 업무 사이에는 직접적이고도 밀접한 내적 관련성이 존재해 사업주인 회사의 지배·관리 아래 업무상 사유로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법률신문 이환춘 기자 hanslee@lawtimes.co.kr |
이전글![]() |
워크아웃 중 과로사 금호타이어 직원 산재 인정 |
다음글![]() |
“포상여행 중 운동하다 숨져도 업무상재해” |